현재 위치 - 편방대전넷 - 의학지식 - 심장병의 심실성 빈맥 치료

심장병의 심실성 빈맥 치료

빈맥상부정맥은 다양한 심실상성 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을 포함한 일반적인 임상 심혈관 응급 상황입니다. 미주 신경 자극, 전기 충격 심장 율동 전환, 약물 치료, 고주파 절제 및 기타 침습적 치료를 포함하는 임상 치료 조치가 완벽해졌으며 기본적으로 모든 발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많은 환자의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심실상성빈맥 발작이 계속되는 것을 의사들이 무기력하게 지켜보던 시대는 끝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업무에서는 위의 방법 중 많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전히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약 90%의 환자가 약물치료를 통해 발작을 종료하거나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급속 상심실성 부정맥의 약물 치료 또는 심장율동전환을 소개합니다.

(1) 심실상성 빈맥의 약물 치료

방실 결절 회귀성 빈맥: 이는 더 일반적이며 50-70%를 차지합니다. 다양한 실내 속도의 %. 공격 중 심박수는 160-220 비트/분이었습니다. 발작을 종결시키는 약물의 선택 : 베라파밀 5mg을 먼저 20ml의 액체로 희석한 후 천천히 정맥주사한다. 효과가 없으면 30분 후에 반복 투여할 수 있으며 총량은 15mg을 초과하지 않는다. 리듬이 안정화됩니다. 아데노신 삼인산(ATP) 10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5mg의 빠른 정맥 주사. 효과가 없으면 2~3분 후에 복용량을 반복할 수 있으며, 1회 복용량은 30mg 또는 베타 차단제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 효과가 없으면 아미오다론 정맥 주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부전이 있는 사람은 먼저 세디란을 선택해야 한다. 발작을 예방하려면 베라파밀, 부정맥, 베타차단제, 디곡신 등을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저용량 아미오다론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전 흥분 증후군: 보조 경로와 관련된 전행성 방실 재진입성 빈맥, 숨겨진 보조 경로로 인해 더 흔하게 발생하며 약 20-30%를 차지하며 공격/지점 동안 심박수는 150-240회입니다. . 발작을 종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약물 선택의 원칙은 위에서 언급한 방실 결절 회귀성 빈맥의 경우와 동일합니다. 부속 경로와 관련된 역행성 방실 재진입 빈맥은 발작 중 심박수가 종종 분당 180~200회를 초과하고 QRS 복합 파동이 넓고 변형되어 심실 빈맥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발작을 종결시키는 약물 선택: 프로카인아미드,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아미오다론의 정맥 주사가 선호되어야 합니다. 디기탈리스와 베라파밀의 사용은 금지됩니다. 공격을 방지하려면 Xingren과 amiodarone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동방결절 재진입성 빈맥: 덜 일반적이며 발생률은 약 4입니다. 공격 중 심박수는 120-180회/분, 일반적으로 150회/분입니다. 공격은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며 심박수는 너무 빠르지 않습니다. 약물 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미주 신경을 자극하여 공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에는 베라파밀, 부정맥, 베타차단제, 디기탈리스 등이 있습니다. 예방약은 종종 필요하지 않습니다.

심방빈맥: 발병률은 4~8회 정도이고, 발작 시 심박수는 100~150회/분이다. 베라파밀, 베타 차단제, 디곡신 또는 아미오다론은 심실 박동수를 조절하기 위해 클래스 IA 약물과 심장 박동 안정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발작성 접합성 빈맥: 드물며 공격 중 심박수는 분당 70~140회입니다. 대부분은 단기적인 공격이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서속 증후군: 부비동염 증후군과 관련된 심실상 빈맥 및 급속 심방세동을 서속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Cedilan은 발작을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항부정맥제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발작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심박조율기를 설치한 후 항부정맥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상심실성 빈맥의 90% 이상이 방실 결절 재진입 빈맥과 전행성 방실 재진입 빈맥입니다. 두 약물의 사용 원칙은 일관적이다. 구조적 심장 질환이 없고, 심장 기능이 정상이며, 동병증이나 방실 전도 장애가 없으면 베라파밀이나 부정맥을 우선 선택해야 하며 베타 차단제도 사용할 수 있다. 효과가 없으면 아데노신 삼인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부전 환자에게는 디기탈리스가 첫 번째 선택이 되어야 합니다. 넓고 변형된 QRS 복합체를 동반한 역행성 방실 재진입 빈맥의 경우 베라파밀과 디기탈리스의 사용을 금지하고 프로카인아미드, 아세트아미노펜, 아미오다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상 작업에서는 심실상성 빈맥의 경우 QRS 복합체가 확장되지 않으면 약물에 대한 금기 사항이 없으며 QRS 복합체가 넓고 변형된 경우 식별 시 베라파밀과 디기탈리스를 금지해야 합니다. 명백히 상심실성 빈맥 또는 심실성 빈맥인 경우에는 심실성 빈맥으로 치료해야 하며,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전기 쇼크 심율동전환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재발 방지에 관하여: 대부분의 심실상 빈맥은 정상 심장에서 나타나며 발작을 보이기 때문에 발작이 자주 발생하지 않으면 자연 종료될 가능성이 있고 혈역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장기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공격을 예방하는 데는 종종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상적인 생활과 업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거나 원래의 심장병을 악화시키는 빈번한 발작이 있는 사람만이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약물 선택의 원칙은 급성 발작을 종결시킬 수 있고 재발 방지에도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는 베라파밀, 부정맥, 디곡신, 퀴니딘 등이 있으며, 아미오다론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심방조동(atrial flutter) 및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약물 치료

심방조동과 심방세동은 흔한 부정맥입니다. 심방조동은 대부분 발작적이며 지속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일부 심방조동은 심방세동 발생의 전조이며 심실 박동수는 일반적으로 분당 140~160회입니다. 일반적으로 심실 박동수가 분당 150회를 초과하면 심근 허혈, 울혈성 심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실 박동수가 분당 200회를 초과하면 저혈압 및 쇼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기 심장율동전환이 첫 번째 선택입니다. 심방세동은 또한 발작적이고 지속적일 수 있습니다. 심실 박동수는 일반적으로 분당 100~160회이며, 심실 박동수 gt; 180~200회/분은 혈역학적 장애를 유발합니다(기존 심부전 또는 승모판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심실 박동수가 분당 120~140회를 초과하면 협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심전도 검사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심율동전환을 수행하는 첫 번째 선택이기도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응급 감전 심율동전환 외에도 임상 약물치료는 주로 심방조동, 심방세동 환자 중 상태가 심각하지 않은 환자에게 사용된다. 약물 치료의 목표는 심실 박동수를 늦추고 심장 박동을 전환하며 재발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심방 조동 및 심방 세동 치료: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심실 박동수를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심실 박동수를 늦추려면 세딜란이나 베라파밀을 정맥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타 차단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실 박동이 느려지면서 자동으로 동율동으로 전환되는 환자도 있으나, 디기탈리스 치료를 3~5일간 유지한 후에도 심율동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심율동전환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동병증과 관련된 심방세동의 경우 베라파밀이나 베타차단제를 사용할 수 없으나, 소량의 세딜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심박조율기를 설치한 후 약물을 사용하여 심방세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흥분전증후군과 관련된 심방세동의 경우 디기탈리스, 베라파밀, 베타차단제 등의 사용이 금지됩니다. 프로카인아미드, 부정맥, 정맥용 아미오다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장율동전환이 어렵거나 여러 차례의 심율동전환 후에도 동박동율을 유지하기 어려운 재발성 심방조동, 심방세동, 만성심방세동 환자의 치료: 또한 심실박동수 조절에 초점을 맞춰 혈역학을 안정시킨다. 이때 정맥투여는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소량을 경구투여하면 충분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에는 디곡신, 베라파밀, 디티아제팜, 프로프라놀롤 및 프로프라놀롤이 포함됩니다. 기질성 심장질환이 동반된 만성 심방세동의 경우 디곡신을 1차 선택으로 사용하며, 대부분의 환자는 1일 0.25mg을 경구 복용하면 심실박동수가 약간의 운동 후에 90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회/분, 소량의 β-차단제나 베라파밀 또는 디티아제팜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투약 중에는 디곡신 혈중 농도와 심전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디곡신 혈중 농도가 크게 증가하거나(gt; 2ng/ml) 심전도에서 2도 방실 차단과 같은 변화가 있는 경우, 디곡신의 양을 줄여야 하며 옥신의 복용량을 늘리고 베라파밀과 베타 차단제를 중단해야 합니다.

(3) 심방조동 및 심방세동의 심장율동전환

빠른 심실 박동수를 갖는 심방조동 및 심방세동의 경우, 심실 속도를 늦추기 위한 치료 후 심실 박동수가 심장율동전환되지 않았습니다. 만성 심방세동의 경우 약물학적 심장율동전환이나 직류 심장율동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약물 선택: Quinidine이 가장 좋은 효과를 가지며 첫 번째 선택입니다. 최근에는 지속형 디히드로퀴니딘이 심율동전환 및 재발방지에 더욱 효과가 있고, 약물원이 있는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둘째, 아미오다론(amiodarone)과 부정맥(발작성 심방세동에 더 나은 효과가 있음) 및 디소피라미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장율동전환 과정 동안과 심장율동전환 후 1~2일 동안 혈압, 심전도, 혈청 칼륨의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항응고제는 일반적으로 동시에 사용되지 않습니다.